
[인천광역신문] 관리자 기자 | 행정안전부는 네이버(대표 최수연), 카카오(대표 정신아)와 함께 국민이 일상적인 대화로 공공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AI 에이전트 기반 공공서비스 혁신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업무협약식에는 행정안전부 윤호중 장관, 네이버 최수연 대표, 카카오 정신아 대표가 참석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행정안전부와 양사는 ‘AI 에이전트’ 기술을 공공서비스에 선도적으로 적용하고 국민 편의성을 높이는 데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주요 협력사항은 ▴민간 인공지능(AI) 에이전트와 공공서비스 연계를 위한 기술 방안 마련, 정책과제 발굴 및 제도적 기반 조성, ▴기관 간 협업 및 기술 지원 등을 통한 서비스 연계 및 확대, ▴서비스 이용 활성화를 위한 홍보 협력 등이다.
특히, 민간 인공지능(AI) 에이전트를 통해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AI 국민비서(가칭)’ 시범서비스를 연내에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긴밀하게 협력한다.
‘AI 국민비서’는 세계 최고의 인공지능(AI) 민주정부 실현을 위한 핵심과제로, 민간 기업의 인공지능(AI) 에이전트에 공공서비스를 연계해, 국민이 복잡한 절차 없이 대화만으로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다.
우선, 시범서비스는 전자증명서 발급‧제출, 유휴 공공자원 예약(공유누리) 등 국민 수요가 높은 개별 공공서비스를 중심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네이버는 독자 인공지능(AI) 파운데이션 모델인 ‘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인공지능(AI) 에이전트를 구축하고, 이를 공공서비스와 연계해 시범서비스를 구현한다.
시범서비스는 대한민국 대표 검색포털인 네이버(웹‧앱)를 통해 제공될 예정이며, 맞춤형 추천 기능 등을 더해 이용 편의성을 한층 더 높일 계획이다.
카카오는 자체 거대언어모델 ‘카나나’ 기반의 인공지능(AI) 에이전트를 공공서비스와 확장성이 높은 개방형 구조로 연동하여 시범서비스를 구현한다.
국민 메신저인 카카오톡에서 시범서비스가 제공될 예정이며, 유해 콘텐츠 필터링을 위한 인공지능(AI) 가드레일 모델 ‘카나나 세이프가드(Kanana Safeguard)’를 적용해 서비스의 편의성과 신뢰도를 높인다.
시범서비스를 거친 뒤, 향후 생애주기별 생활‧행정 업무를 한 번에 처리하는 원스톱 서비스를 구현하고, 개인의 상황과 조건에 맞춰 자동으로 처리하는 단계까지 점차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윤호중 장관은 “국민이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AI민주정부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민간의 혁신적인 기술과 협력이 필수적이다”라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정부와 민간이 함께 힘을 합쳐, 국민 누구나 말 한마디로 쉽고 편리하게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행정안전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