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대구시교육청, 2024년 대비‘학교폭력심의 건수’17% 감소

갈등조정지원단, 가해학생 다중 조치에서 교육적 해결책을 찾다

 

[인천광역신문] 관리자 기자 | 대구시교육청은 지난해 학교폭력전담조사관 제도 도입 후 학교폭력심의 요청건수가 2024년 4월말 기준 대비 현재 17%가 감소하는 의미있는 변화가 있음을 26일 밝혔다.

 

대구시교육청은 학교폭력 사안처리를 넘어, 교육의 본질인 생활교육의 정상화에 초점을 맞추고, 학생 간의 사소한 갈등에 대해서 학생, 학부모, 교사가 함께 하는 갈등극복 과정을 통해 배움과 성장의 기회를 마련하는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노력을 시작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기존의 ‘관계회복지원단’과 올해 전국 최초로 운영되고 있는‘갈등조정지원단’활동이 함께 결실을 맺고 있다.

 

지난 3월부터 현재까지 접수된 학교폭력 사안 중 관계회복지원단을 통해 9건, 갈등조정지원단을 통해 20건 등 29건이 학교장 자체 해결로 마무리됐다.

 

‘갈등조정지원단’은 심화된 갈등으로 더 이상 관계를 이어가기 어려운 학생들에게‘아름다운 이별’을 통해 상호존중의 관계 형성을 돕는다는 것이 특징이다.

 

가해학생에게 높은 처벌만을 이끌어 내려는 응보적 해결이 아니라, 갈등지원단의 사안 이전부터 현재까지 서로에 대한 마음을 파악하고 풀어서 전달해 주는 ‘통역’의 과정을 통해 상대의 마음을 존중하고 자신의 행동에 대해 돌아본다.

 

이어, 서로의 의사를 확인하면 앞으로 오해할 만한 상황을 적극적으로 회피하여 서로의 안전을 보장하는 ‘신사협정’을 맺는다.

 

이 협정을 기점으로 관련 학생 및 보호자, 교육청 담당자, 학교 대표(교감, 생활교육부장, 담임교사, 상담교사 등)가 원만한 갈등 조정과 해결을 위해 함께 노력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가해관련 학생의 보호자로 신사협정에 참여한 중학생 학부모는 “아이의 행동에 법적 책임을 묻는 것이 아니라, 잘못된 행동이었지만 가해 학생의 마음도 살펴주는 갈등 회복 과정을 경험하며 부모로서 자녀 교육에 대해 돌아보는 기회가 됐다.”며, “우리 아이도 그 과정에서 피해 학생의 회복을 위해 더 노력하겠다는 마음을 표현하며 갈등이 잘 해결된 것 같아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고 밝혔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최근 한 통계에서 대구의 학교폭력 가해학생 조치건수가 다른 지역에 비해 높아 학교폭력이 많은 것으로 보일 수 있지만, 이는 가해학생에 대해 주조치 외에도 서면사과나 접촉 금지 등을 함께 부여하여 폭력의 재발을 막기 위한 교육적 노력의 일환”이라며, “대구는 2012년부터 교육부의 학교폭력응답률 조사에서 전국 최저를 기록하고 있다.”고 전했다.

 

강은희 교육감은 “학교폭력 대응에 있어 갈등조정지원단 활동은 갈등에 대한 교육적 해결 노력을 통해 학교 생활교육의 기능을 회복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이를 통해 학교가 학생의 성장을 돕는 수업과 평가에 집중하는 학교문화를 조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라고 말했다.


[뉴스출처 : 대구시교육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