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경찰, 스토킹·교제폭력 반복 막는다. 가해자 집중 관리, 전자발찌 채운다

접근금지 조치 대상자 전수 점검, 가해자 주변 기동순찰대 배치, 구속영장 신청 시 재범 위험성 평가 등을 통한 적극적인 대응 의지 표명

 

[인천광역신문] 관리자 기자 | 최근 의정부, 울산 등에서 스토킹과 교제폭력이 연이어 발생하여 사회적 불안감이 높아진 가운데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7월 31일, 교제 살인이 발생했던 대전서부경찰서를 방문했다.

 

먼저, 유명을 달리한 피해자의 명복을 빌며 깊은 책임감을 표명한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이 자리에서 스토킹·교제폭력 등 관계성 범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하는 경찰의 의지를 밝혔다.

 

우선, 경찰은 최근의 사건들이 주로 접근금지 조치를 위반한 상태에서 발생하고 있어 현재 '스토킹처벌법'상 접근금지가 진행 중인 사건 전부에 대한 위험성을 재차 판단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재범 위험이 높다고 판단된 대상자에 대해서는 '스토킹처벌법'상 위치추적 전자장치 부착이나 유치장 유치 등 강력한 분리 조치를 추가로 신청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특히, 최근의 사례와 같이 연인 관계에서 스토킹이 일어난 사건은 집착 등으로 인해 강력사건으로 이어질 우려가 높다고 보고, 점검은 물론 민간경호 등 범죄피해자 안전조치 또한 적극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또한,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접근금지 조치 중인 가해자 주변에 기동순찰대를 집중적으로 투입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가해자가 경찰이 배치되어 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7~8명의 팀 단위 순찰은 물론 필요한 경우, 흉기 소지 여부 등을 확인하기 위한 불심검문을 실시하고, 재범 위험성이 높은 가해자 주변에는 순찰차를 거점 배치하는 등 여러 수단을 통해 재범 심리를 선제적으로 차단할 계획이다.

 

재발 방지를 위한 경찰의 노력은 수사 과정에도 이어진다. 지난 7월 14일부터 시범 운영 중인 고위험 관계성범죄를 대상으로 한 ‘재범위험성 평가’ 제도가 성과를 보이고 있다고 밝힌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영장 신청 단계에서 범죄분석관이 스토킹 위험성 평가(SAM) 등 과학적 평가도구를 통해 재범 위험성을 평가하여 적극적으로 구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피해자가 처벌을 원하지 않더라도 위험성이 높다고 보고 가해자 격리 등 적극적인 수사를 진행하는 수사관들이 오히려 민원에 시달리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라며 이에 대해서도 “적극행정 면책 제도 등을 활용하여 수사관들이 판단한 위험성에 따라 적극적으로 사건을 처리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나가겠다.”라고 했다.

 

앞으로 경찰은 살인 등으로 이어진 관계성범죄에 대한 면밀한 사례 분석을 통해 ‘관계성범죄 종합 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또한, 교제폭력은 법적 근거가 없어 접근금지 등 조치를 할 수 없고, 가정폭력·스토킹은 법상 임시·잠정조치 또한 경찰-검사-법원 단계를 거쳐 결정되는 과정에서 피해자 보호가 지연되고 있다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 사회적 논의를 거쳐 입법적 보완을 추진해 나간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고위험 사례에 대해서는 여성가족부, 대검찰청 등 관계 기관과의 긴밀한 공조를 통해 사전 개입부터 사후 관리까지 유기적인 보호 체계를 구축하여 실효성 있는 현장 대응이 이뤄지도록 할 예정이다.


[뉴스출처 : 경찰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