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신문,인천방송] 박성호 기자 | 인천시가 인천작고작가의 작품구입에 나선다. 작고작가 작품의 타지역 유출과 훼손을 막고, 인천시립미술관에 보관해 인천미술사의 정립에 활용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인천시립미술관 소장을 위한 인천작고작가 작품구입」을 공고했다. 인천작고작가의 작품을 가지고 있는 개인이나 단체 중 예술품 판매관련 업종의 사업자등록증이나 문화예술 사업관련 고유번호증을 소지하고 있으면 신청자별로 5점까지 신청할 수 있다. 인천작고작가는 인천태생의 작가, 인천지역의 초·중·고·대학(1개 이상 인정) 학적의 작가, 5년 이상 인천에 거주하며 인천에서 전시 활동한 작가 중 한 가지 조건 이상을 충족해야 인정된다. 이밖에 작품 구입에 관련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시 홈페이지 공고문(www.incheon.go.kr)을 참고하거나 시립미술관팀(032-458-7247)에 문의 할 수 있다. 작품은 2023년 1월 16일부터 2월 3일까지 방문과 우편으로 접수할 수 있으며 인천시는 접수된 작품을 △가치평가 △가격평가 △작품수집 심의를 거쳐 작가별 3점 이내로 수집작품을 선정하고 실사를 거쳐 작품을 수집할 예정이다. 최근 「인천시
[인천광역신문,인천방송] 박성호 기자 |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관내 거주 외국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없애고 문화적 다양성을 받아들이며, 외국인주민 인식개선을 위해 추진한 U.C.C.(User Created Contents)제작 공모전 수상작 16점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10월 24일부터 11월 30일까지 38일간 작품을 접수한 결과, 총 80편이 접수됐으며, 주제의 적합성ㆍ창의성ㆍ완성도를 기준으로 심사를 거쳐 대상 1편, 최우수상 2편, 우수상 3편, 장려상 10편 총 16편이 선정됐다. 시상식은 오는 12월 27일 인천외국인종합지원센터에서 개최될 예정이며 수상팀에게는 소정의 상금(대상 300만원, 최우수상 각 200만원, 우수상 각 100만원, 장려상 각 60만원)과 상장을 수여할 예정이다. 대상 수상작인 ‘화합과 공존의 꽃을 피우는 인천’은 꽃과 인천이 한 폭의 수채화로 그려지는 과정을 담은 라이브드로잉 영상으로 꾸며진 ‘외국인주민이 인천에서 어우러져 살아가는 인천의 꿈과 대한민국의 미래’를 담았다. 인천시는 이번 U.C.C. 수상작 전부를 유튜브 채널(‘인천외국인종합지원센터’, https://www.youtube.com/@iscfr)에
[인천광역신문,인천방송] 박성호 기자 | 인천광역시 시립박물관(관장 유동현)은 시립박물관 2층 세미나실에서 다큐멘터리 김동우 작가의 사진전과 연계한 ‘박물관 토크 콘서트’와 ‘작가에게 직접 듣는 도슨트’행사를 각각 12월 15일과 내년 1월 14일에 개최한다고 밝혔다. 박물관에서는 지난 11월 22일 한민족 공식 이민 120주년을 맞이해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독립운동 유적지와 그곳에 살고 있는 독립운동가의 후손들을 기록해 온 다큐멘터리 김동우 사진작가와 함께 사진전 <편도, 뭉우리돌을 찾아서>을 개최하고 있다. 사진작가 김동우는 그동안 2017년 인도를 시작으로 멕시코, 미국, 쿠바,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몰랐던 세계 곳곳 독립운동의 이야기들을 사진으로 담아왔다. 특히 올해는 120년 전 한민족 공식 이민의 첫 도착지인 하와이의 독립운동 역사의 현장을 다녀왔다. 그리고 그의 고된 여정을 담은 사진을 이민의 출발 도시인 인천에서 전시를 열고 있다. 이번 행사 중‘토크콘서트’는 김동우 작가의 미주 지역 독립운동 현장 이야기를 함께 공유하는 자리다. 이야기를 나눌 패널로는 국외 독립운동 유공자들을 앞장서서 발굴하고 그의 후손들을 찾아 독립유공
(베이징 2022년 11월 24일 PRNewswire=연합뉴스) 최근, 산둥수공예전시체험센터(Shandong Arts & Crafts Exhibition Center)의 서브 브랜드인 'Handcrafts·Yuan Theater'가 중국 동부 산둥성 지난시에서 대중에게 개방됐다. 'Handcrafts·Yuan Theater'는 산둥성 최초의 몰입형 주말 극장으로, 창조적인 문화 및 예술적 표현을 통해 시민과 관광객이 지난시의 역사적 번영을 체험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한다. Jinan Mingfucheng Cultural Tourism Investment Holding Co.가 건설한 'Handcrafts·Yuan Theater'는 '몰입형' 감성의 최신 동향과 매력을 결합했다. 이를 통해 관객에게 클래식 음악 공연장, 몰입형 길거리 극장, 세계 음악 부문, 스윙 댄스 무대, 전자 음악 부문 및 기타 공연 콘텐츠를 창의적으로 제공한다. 올 9월 지난시에서 산둥수공예전시체험센터를 대중에게 공개함에 따라, '산둥 수공예(Shandong Handcrafts)' 브랜드 구축에 중요한 이정표를 달성했다. 산둥수공예전시체험센터는 산둥성의 새로운 명함이다. 이 센터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오는 24일 시립박물관 석남홀에서 서울학연구소, 한국고지도학회와 함께 “평양성 고지도” 학술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학술행사는 인천시립박물관 송암미술관에서 소장 중인 평양성도(보물 제1997호)를 중심으로 연구 발표하는 자리다. ‘평양성도(平壤城圖)’는 현존하는 평양성 옛 그림 중 가장 오래되었을 뿐만 아니라 가장 아름다운 그림으로 평가받고 있다. ‘평양성도’는 평양성을 부감시(俯瞰視, 하늘 위에서 아래를 내려다 보며 그림)로 그려낸 회화식 지도로써 8폭 병풍으로 구성돼 있다. 기록에 따르면 평양성도는 조선초기부터 그려졌으나, 조선후기 평양이 경제와 문화적 측면에서 한양에 버금가는 도시로 부상함과 동시에 기자(箕子)의 업적이 남아있는 도시로 여겨지면서, 18세기 이후 발달한 회화식 지도와 실경산수화로 다수 재현됐다. 현존하는 평양성도 병풍의 대부분은 19세기 이후의 것으로 지도 형식의 평양성도, 병풍에 그려진 회화식 지도, 평양감사의 부임과 같은 풍속적인 장면을 가미한 유형으로 구분된다. 그 중 송암미술관 소장 <평양성도>는 병풍에 그려진 회화식 지도의 유형에 속하는데, 현존하는 평양성도 병풍 중 가장 이른 시
인천 부평구(구청장 차준택)가 1일부터 인천나비공원 자연교육센터 기획전시실에서 희귀곤충 표본 전시회를 운영한다. 올해 말까지 진행하는 이번 전시회는 국내뿐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에서 서식하고 있는 곤충들을 본떠 제작한 곤충표본들을 전시한다. 곤충표본은 사슴벌레, 비단벌레, 나비, 나방, 입벌레, 장수풍뎅이, 하늘소 등 다양한 세계의 희귀곤충 액자 46점이다. 전시회는 비대면 방식으로 관람할 수 있도록 인천나비공원 유튜브 '인천나비공원'에 영상을 게재하고 인천나비공원을 홍보할 예정이다. 인천나비공원 관계자는 "다양한 여러 나라의 곤충들의 표본 전시를 통해 관람객들에게 볼거리와 설명을 제공, 관람객들에게 관심과 지식을 전달할 예정이니 많은 관람과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