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인천시, 일상 생활권 단위 2045 인천도시기본계획 수립

인공지능을 활용한 시민체감형 생활권계획 본격 설계한다

 

[인천광역신문] 최예준 기자 | 인천광역시는 ‘2045년 인천도시기본계획(생활권계획)’을 본격적으로 수립한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 도시 전반의 성장 방향을 제시하는 최상위 공간계획으로, 생활권계획을 구체화해 일상생활에서 편리한 생활환경을 구현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국토계획법에 따라 광역 지자체는 5년마다 도시기본계획의 타당성을 재검토하고 정비해야 하며, 생활권계획을 포함하도록 규정됐다.

 

인천시는 이에 따라 지난 7월 인천연구원의 정책연구를 통해 생활권계획 수립·운영 방안을 마련했다.

 

이어 8월에는 EU 도시혁신 프로그램 ‘N분도시’국제공동연구에 선정돼 인천을 대상으로 한 생활권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글로벌한 협력 기반도 확보했다.

 

이번 2045 도시기본계획은 ▲도심‧부도심 및 지역중심 체계 ▲토지이용·기반시설·환경·공원녹지 등 부문별 전략계획 ▲생활권계획 구체화를 주요 내용으로 한다.

 

특히 생활권계획은 원도심, 신도시, 농어촌‧도서지역 등 지역여건에 부합한 ‘i분 생활권’을 설정해, 인천 어디서나 일상생활을 편리하게 영위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특히 인공지능 시민참여 플랫폼을 통해 읍면동, 통반, 단지 등 지역별 시민의 니즈를 세밀하게 수렴하여 계획에 반영한다.

 

인천시는 인공지능을 통해 계획초안을 빠르고 정확하게 작성하고 이후 시민과 전문가의 소통을 더욱 확대해 시민들의 일상에서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변화와 개선을 이끌어내는 계획으로 개편할 예정이다.

 

이철 인천시 도시계획국장은 “도시기본계획과 생활권계획은 단순한 장기 계획이 아니라, 인천의 미래를 시민의 삶 중심으로 재설계하는 전략적 계획”이라며, “시민이 체감하는 생활 혁명으로, 어느지역에서든 일상생활이 편리한 도시로 인천을 바꾸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인천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