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김문수 의원, 자퇴 비율 2022학년도부터 두드러져

특성화고 2024학년도 4% 넘어.. 외고, 2021학년도부터 일반고보다 많아져

 

[인천광역신문] 관리자 기자 | 고등학생 자퇴 비율이 2022학년도부터 두드러진 증가세를 보였다. 특성화고는 지난해 4%를 넘어섰고, 외고는 2021학년도부터 일반고를 추월했다.

 

한국교육개발원이 국회 교육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의원에게 제공한 통계로 산출한 결과, 고등학생 자퇴 비율은 2022학년도부터 증가세가 눈에 띄었다. 2015학년도 1.20%였던 비율은 증가하다가 2020학년도 코로나 시기에 1.06%로 떨어졌다.

 

뒤이어 코로나 지나 예년 수준을 회복한 다음, 2022학년도에는 1.87%로 뛰었다. 2023학년도는 2%를 넘어섰고, 작년 2024학년도는 2.05%를 기록했다.

 

묘하게 정시 확대와 겹친다. 서울 일부 대학의 정시 확대는 2023학년도 입시부터 적용됐다. 고등학생 기준으로 2022학년도 하반기에 치러진 입시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그 해 치러진 수능에서 졸업생은 처음으로 30%를 넘어섰다.

 

자퇴 비율을 고등학교 유형별로 보면, 특성화고가 가장 많다. 지난해 2024학년도 4.11%였다. 다음은 자공고, 예고, 국제고, 외고 순이다.

 

가장 적은 유형은 과학고 중 영재학교로 0.44%였다. 영재학교 외 과학고, 자사고, 마이스터고가 그 뒤를 이었다. 일반고는 1.74%로 중간 정도다.

 

특성화고는 2015학년도 2.02%에서 2024학년도 4.11%로 늘었다. 10년 새 두 배가 됐다. 학교를 떠나는 이유 등에 대한 규명이 필요해보인다.

 

외고와 국제고는 일반고보다 자퇴 비율이 높다. 그 중에서 외고는 당초 일반고보다 낮았는데, 코로나를 지나면서 일반고를 상회했다. 역전 현상이 벌어진 것이다.

 

전남 순천·광양·곡성·구례(갑) 김문수 의원은 “고등학교 자퇴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학생수는 감소하는데, 자퇴생은 늘어나는 추세다”라며, “비율보다 추세에 주목해야 한다”면서 “특성화고는 특히 4%를 넘었다”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이어서 “학교 떠나는 이유, 그 목소리를 교육당국이 들어볼 필요가 있다”며, “정시 확대가 적용된 시기부터 N수생이 늘어나고 자퇴가 증가한 것처럼 보이는데 우연인지, 상관관계가 있는지, 그 외 의대나 내신 또는 일자리와 관련 있는지 등 파악하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국교육개발원은 김문수 의원실로 2015~2024학년도 고등학교 유형별 자퇴자수, 학업중단자수, 학생수 교육통계를 제공했고, 의원실은 자퇴 비율을 구했다.

 

우리나라의 고등학교는 유형이 일반고, 특성화고, 특목고, 자율고로 구분된다. 뒤이어 자율고는 자공고와 자사고로 구분되고, 특목고는 예고, 체고, 과학고, 외고, 국제고, 마이스터고로 세분화된다. 과학고는 영재학교와 영재학교 아닌 과학고로 나뉜다.


[뉴스출처 : 김문수 의원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