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신문,인천방송] 박성호 기자 |
12. 9.(금) 여러 매체에서 보도된 <자원순환센터 건립> 관련 설명자료입니다.
□ 주요 보도내용
○ 송도·청라 소각장 ‘증설’ 언급에 파장 예상 ○ 새로운 입지 선정 대신 기존 소각장 증설 추진해야 |
□ 설명 내용
12월 8일 인천환경공단 기자간담회에서 ‘권역별 자원순환센터 건립’과 관련해 이사장이 언급한 발언은 인천시의 공식 입장이 아니며, 사실과 다름.
인천환경공단은 폐기물처리시설의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업무를 맡고 있는 수탁기관일 뿐, 자원순환센터 건립 관련 정책 수립에 관해서는 아무런 권한도 없음.
인천시는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에 대비하기 위해 2026년까지 4개 권역에 자원순환센터를 확충할 계획이며, 가연성폐기물 직매립 제로를 목표로 변함없이 추진하고 있음.
- ▲ 서부권(신설) : 입지선정위원회 운영 → 입지후보지 선정(‘23. 2월 이내)
- ▲ 동부권(부천 광역화) : 부천시와 광역화 처리시설 건립 위해 협의
- ▲ 북부권(서구 자체 건립) : 입지선정위원회 구성 중
- ▲ 남부권(대보수) : 남부권 자원순환센터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23. 1월 이내)
북부권의 경우 지난해 2월 인천시와 서구가 체결한 협약을 토대로 현재 서구에서 자원순환센터 설치·운영을 위한 절차를 진행하고 있으며, 인천시는 원활한 건립을 위해 행정적·기술적·재정적 지원을 하고 있음.
또한, 남부권의 송도자원환경센터는 시설의 노후화 등으로 대보수가 필요함에 따라 기본계획 수립 등 관련 행정절차를 진행하고 있음.
인천시는 앞으로도 군·구와의 협력·소통 및 입지지역 인센티브 강화를 통해 주민 수용성을 확보하면서 친환경적이고 안정적인 시설이 적기에 확충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할 방침임.